2022년 영아수당 육아휴직 총정리
안녕하세요. 타이탄 도구 입니다.
오늘은 정부 정책 중에서 영아수당 인상과 육아휴직에 대해서 구체적인 내용을 다뤄볼까 합니다.
최근 소식으로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고령사회, 제 4차 저출산에 대한 기본 계획을 확정했습니다.
이 계획은 내년인 2021년 부터 2025년 까지 추진될 인구 정책에 기반이 됩니다.
2022년 부터 출생아 부터 생후 24개월 이내의 아동에 대해서 영아수당을 도입합니다.
월 30만원 지급으로 시작하여 2025년 까지 매월 50만원까지 단계적으로 인상하는 것이 주요 포인트 입니다.
지금부터 영아수당과 함께 고령화, 저출산 핵심 정책으로 실제 우리에게 적용되는 정책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구체적으로 알아본 뒤, 마지막에 간략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영아수당 이란?
영아수당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영아수당이란 정부가 모든 만 0~1세 (24개월 이내) 영아에게 매월 일정 수당을 지급하는 것입니다.
자료 출처 : 정책 브리핑
7세 미만에게 지원되는 아동 수당 (월 10만원)과는 별개 입니다.
위 그림에서 1. 영아기 집중투자에 보면, 영아수당은 22년 출생아부터는 30만원 지원을 하고 25년까지 단계적으로 월 50만원으로 인상합니다.
그리고 25년 부터는 매월 50만원 지급한다고 합니다.
7세 미만에게 지원되는 아동수당과 함께 생각해보면 22년부터 0~1세 영아는 40만원, 25년 부터는 60만원의 지원금을 받게 됩니다.
그리고 위 그림에서 첫만남 꾸러미를 참고하시면 임신의료비 지원을 6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인상합니다.
또한 출산 시 200만원의 바우처를 신규로 지급합니다.
또한 정부는 3+3 부모육아휴직제를 도입했습니다.
생후 12개월 미만의 자녀를 둔 부모가 모두 3개월 씩 육아 휴직을 할 경우에
각각 월 최대 300만원 ( 통상 임금 100% )를 지급하는 것입니다.
부부 합산 최대 600만원입니다.
이 것은 부모가 한 명만 휴직할 때 보다 육아휴직급여가 많아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출처 : 네이버 이미지
위의 그림을 참조 하시면, 영아를 돌보기 위해서 휴직하는 근로자는 3개월 간 매달 200만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정부는 육아휴직을 쓰고 복귀한 근로자가 1년 이상 유지한 중견기업 혹은 중소기업은 세액공제 혜택을 기존 5~10% 에서 15~30%까지 확대해준다고 발표했습니다.
이것은 육아휴직 후 복직을 하는 근로자의 고용안정을 위한 것입니다.
이제 위의 내용을 보기쉽게 한번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네이버 이미지
● 2022년 부터 0~1세 영아수당으로 30만원을 지급하고 점차 늘려 25년부터는 매달 50만원의 영아수당을 지급한다.
● 22년부터 임시 시 100만원 지원 (기존 60만원), 출산 시 200만원 지급
● 만 1세 (24개월 이내) 미만의 자녀가 있는 부모는 3개월 씩 공동으로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부부 합산 최대 600만원의 휴직 급여 지급
● 한 사람만 사용 시, 통상임금 100% 월200~300만원 (기존 통상임금 80%, 월 150만원) 육아휴직 급여 지급
이상으로 2022년 영아수당 및 육아휴직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경제 상황 등 많은 이유로 결혼 비중도 줄어들고 있고, 저출산 시대가 되었습니다.
출산 계획이 있으신 분들은 오늘 내용을 잘 참고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정부에서도 아이를 갖는 사람들에게 더 좋은 지원을 하려고 하니 잘 이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정보가 유용한 정보가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보 배달 알바 (Feat 배민 커넥트) 신청방법 (0) | 2020.12.21 |
---|---|
코막힘 뚫는 법 집에서 쉽게 할 수 있습니다. (0) | 2020.12.21 |
모공 줄이는 법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0) | 2020.12.14 |
다이소 국민 아기욕조 환경호르몬 기준치 612배 노출 (0) | 2020.12.10 |
실업급여 조건 퇴직 후 바로 신청하세요 (0) | 2020.12.04 |
댓글